시력 나쁠수록 실명 질환 위험성도 높을까?
시력 나쁠수록 실명 질환 위험성도 높을까? - 관련이미지

뚜렷한 초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안과 질환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눈이 침침하고 뿌옇게 보이기 시작하면 대부분 노안으로 생각하기 쉬운데요. 방치하여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실명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, 전자기기의 사용이 잦아 눈의 피로도가 높은 젊은 층에서도 안과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치료가 더욱 중요합니다. 근시와 실명 질환 위험성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근시와 실명 질환
근시

근시는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은 잘 보이고 멀리 있는 것은 잘 보이지 않는 상태입니다.

시력이 많이 안 좋은 고도 근시의 경우 안구의 길이가 정상적인 안구 길이(22~25mm)에 비해 길게 자라게 되고 보통 26mm 이상에서 심하면 31~32mm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.

실명 질환과의 연관성

근시로 인해 안구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시신경, 망막, 황반이 당겨져 손상될 수 있습니다.

시신경이 당겨지면 녹내장의 위험성이 커지고, 망막이 당겨져 얇아지면 망막 일부가 안구 벽면에서 떨어져 나가 시야가 어두워지는 망막박리가 생길 수 있으며, 황반이 늘어나 찢어질 경우 실명 위험이 큰 황반변성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.

분당서울대병원의 연구에 의하면 50세 미만 망막박리 환자의 고도 근시 비율이 50~60%, 근시 비율이 90%에 해당하여 대다수 환자가 고도 근시 또는 근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


실명 질환, 조기 발견의 중요성

우리나라 국민의 약 25%는 평생 안과 검진을 받아 본 적이 없을 만큼 안과 검진에 대한 인식이 낮고 중요성을 크게 못 느끼는 편입니다. 안과 질환은 자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방치하기가 쉽고, 손상된 시신경은 제때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회복이 어려워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,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. 아래의 상황에 해당한다면 정기적인 검진을 받을 것을 권해드립니다.

불편 증상이 있다면

만약 갑자기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거나, 눈이 침침하고 시력이 나빠지는 걸 느끼거나, 사물이 휘어져 보이는 등의 증상이 있다면 이른 시일 내에 안과 정밀검진을 받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.

만약 한쪽 눈에만 이상이 있는 경우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해 방치할 수 있으므로 스스로 한쪽 눈을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 쪽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고도 근시 경험이 있다면

고도 근시가 있는 경우 나이와 관계없이 연 1회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으며, 고도 근시로 시력 교정술을 받아 정상 시력으로 돌아온 사람들 역시 늘어난 안구 길이는 변하지 않아 여전히 안구 질환 발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정기적 검진이 꼭 필요합니다.

중 장년층에 속한다면

40세 이상의 중 장년층의 경우 3대 실명 질환인 녹내장, 당뇨 망막증, 황반변성의 유병률이 증가하므로 최소 연 1회 안저 검사와 같은 정기적인 정밀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과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.

안저 검사란, 안저 카메라로 안구를 촬영하여 동공을 통해 눈 안쪽 구조물을 관찰하는 정밀검사로 망막, 망막혈관, 시신경유두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실명과 연관된 질환인 녹내장, 당뇨 망막증, 황반변성, 망막박리 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.